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53-55
김천 작점고개 백두대간 마루금 복원사업지 내 식재수목의 생육 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4호 (2022.08) pp.422-432
야생동물 서식지 확대 사례 보고 -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5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78
지리산국립공원 남부 훼손지 복구 모니터링 - 기존 군부대와 야영장 부지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79-80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과 탐방객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 자연휴식년제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6호 (2009.12) pp.585-593
직강화 하천구간과 자연형 하천복원구간의 식물상 및 출현빈도 비교-불광천을 사례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8권 제1호 (2004.04) pp.61-74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보전실태 및 복원(II) -사례지의 식생복원계획-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1호 (2003.04) pp.71-82
수도권 지역 아까시나무림의 식생구조의 자연성 복원 모델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2호 (2001.08) pp.159-172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V) - 사례지의 복원전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3호 (1997.12) pp.352-365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V) - 사례지의 식생구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3호 (1997.12) pp.334-351
도시하천에서 자연형 저수로 호안공법의 적용과 식생복원 모니터링 - 서울시 양재천의 학여울 구간을 사례지역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2호 (1997.08) pp.21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