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거수의 가치평가체계 개발 - 서울시 향나무 노거수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9권 제1호 (2025.02) pp.90-101
도로 밀도와 식생 유형이 대형산불 피해에 미치는 영향 - 2023년 홍성산불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6호 (2024.12) pp.634-645
체감녹지 관점에서 녹지불평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549-563
생물음향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한 나그네새의 한국 도래 특성 연구 - 울새를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465-476
계곡림 군집구조특성 분석 - 홍천 공작산, 김천 황악산, 부산 금정산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24-25
음향지수를 활용한 도시공원의 사운드스케이프 특징 분석1a - 남산 도시자연공원 사례 연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4호 (2024.08) pp.405-415
충청남도지역 소사나무림 군집구조분석 연구1 - 안면도, 황금산, 가야산(원효봉) 및 팔봉산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3호 (2024.06) pp.293-309
우리나라 분비나무의 수고 특성 연구 - 설악·오대·태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2호 (2024.04) pp.169-177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의 생태계서비스 효과 분석 - 유한킴벌리 우리강산 푸르게푸르게(KKG) 캠페인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1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120
도시숲 조성을 통한 자연기반해법(NbS) 적용 사례 분석 - 문래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7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53-55
고창 생물권보전지역 탐방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 운곡람사르습지 외 고창군 전역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45
경기 북부지역 계곡림의 식물상 및 식물군집구조 특성 - 연천군 신서면 내산리 지역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5
김천 작점고개 백두대간 마루금 복원사업지 내 식재수목의 생육 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4호 (2022.08) pp.422-432
동물 행동권 분석 방법론 고찰- 괭이갈매기 사례 분석과 시사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2호 (2022.04) pp.202-216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 특성 분석 및 관리 전략 -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6호 (2021.12) pp.659-668
흰물떼새 새끼(Charadrius alexandrinus)의 음성 레파토리 분석: 연안지표종의 사례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1호 (2021.04) p.32
딥러닝 기반의 객체 검출 알고리즘을 활용한 야생동물 객체인식 기초 연구 -국립공원 생태통로 무인센서카메라 영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1호 (2021.04) p.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