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1호 (2024.02) pp.108-120
바람길숲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및 관련계획과의 연계방안 마련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p.24-25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 특성 분석 및 관리 전략 -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6호 (2021.12) pp.659-668
딥러닝 기반의 객체 검출 알고리즘을 활용한 야생동물 객체인식 기초 연구 -국립공원 생태통로 무인센서카메라 영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1호 (2021.04) p.2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3호 (2019.06) pp.366-374
딥러닝을 이용한 야생동물 자동식별 -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생태통로 카메라 트랩 영상분석 사례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p.34-35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생태통로 내 인공구조물 설치에 의한 야생동물 이용현황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7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p.79-80
서울시 도봉구 내 산림녹지축 단절지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네트워크 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87-8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5호 (2011.10) pp.639-648
도심 녹지축 기능 향상을 위한 식재설계기법 연구 - 인천 중앙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232-236
서울시 녹지축 내 녹지유형별 야생조류 및 양서류 서식현황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155-159
인천시 남북녹지축 탐방로의 분포와 훼손특성 -산지형 도시자연공원을 사례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8권 제4호 (2004.12) pp.359-368
도로개발에 의하여 훼손된 산림지역 생물이동통로 식재계획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3호 (2002.12) pp.321-337
녹지축 연결을 통한 생태공간 조성계획 - 성남시 분당 Ecobridge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0권 제1호 (1996.08) pp.2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