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1호 (2022.02) pp.87-101
전라남도 섬 지역의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복원을 위한 적합지 예측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5호 (2021.10) pp.558-568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생천이계열 고찰 -육박나무군락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1호 (2018.02) pp.77-96
제주도 선흘곶 초지지역의 천이경향을 고려한 상록활엽수림 복원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8권 제4호 (2004.12) pp.369-381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보전실태 및 복원(II) -사례지의 식생복원계획-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1호 (2003.04) pp.71-82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보전실태 및 복원(I) - 상록활엽수림 분포 및 훼손등급 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3호 (2002.12) pp.309-3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3권 제2호 (1999.08) pp.109-1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2권 제3호 (1998.12) pp.279-289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V) - 사례지의 복원전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3호 (1997.12) pp.352-365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V) - 사례지의 식생구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3호 (1997.12) pp.334-351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형(II)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과 귀화식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0권 제1호 (1996.08) pp.128-139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 - 식생구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0권 제1호 (1996.08) pp.87-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