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benzylaminopurine의 엽면살포가 나도풍란 유묘의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83-84
한반도 특산식물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개체군 개화특성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p.32-33
조릿대는 왜 평생 한 번 대규모로 꽃을 피우고 죽는가? ‐조릿대 개화지의 외적 환경인자 분석 및 그 생활사 전략‐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64-577
기후변화조건에서 외래식물 종지나물(Viola papilionacea Pursh)의 개화율 및 고사율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87
생물계절 관찰을 통한 국립공원의 식물 개엽 및 개화시기 변화 연구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p.39-40
LED광질에따른 분홍장구채(Silene capitata Kom.)의 생리 및 개화 반응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5호 (2016.10) pp.821-828
도심 내 야간의 조도와 봄철 수목 개화 및 잎 생장 간 상관관계 - 서울 잠실역에서 올림픽공원 구간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441-45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4.06) pp.326-330
서울 도심 내 빛공해의 식물 개화 및 잎 생장 영향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33-3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4호 (2012.08) pp.588-59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99-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