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33
박테리아 16s rRNA 영역 분류 방법에 따른 산림 벌채지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97
KOMPSAT-3A 위성영상과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산림식생의 임상 분류법 개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6호 (2018.12) pp.686-69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4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3호 (2018.06) pp.289-302
백두대간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및 종조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2호 (2018.04) pp.176-18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2호 (2017.04) pp.220-229
계방산 가문비나무 및 전나무 임분의 산림식생유형분류와 정량적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4.04) pp.182-19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6호 (2010.12) pp.630-637
울릉도 성인봉과 태하령지역 산림식생의 분류에 관한 연구 -TWINSPAN과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0.04) pp.57-66
Ordination 과 Classification에 의한 백운산의 산림 군락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3권 제3호 (1999.12) pp.244-253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지리산 대원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5권 제1호 (1991.12) pp.5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