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환경에서 시각적 산림자극의 치유효과에 대한 실험적 분석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6호 (2023.12) pp.473-483
임산물 약용수의 자생지 식생 구조와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 꾸지뽕나무・마가목・헛개나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5호 (2023.10) pp.347-36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p.13-14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숲 조성 계획 연구 - 구미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p.19-20
단기소득임산물 자생지 주요 산채류 식생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4호 (2019.08) pp.447-45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2호 (2011.04) pp.132-144
국내 산림생태계에서 우점하고 있는 설치류 3종의 서식환경에 따른 행동 패턴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1호 (2009.04) pp.59-6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3호 (2008.06) pp.320-32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1호 (2007.03) pp.82-92
울릉도 산림군락의 구조 및 DCCA에 의한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2호 (2000.08) pp.111-118
Ordination 과 Classification에 의한 백운산의 산림 군락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3권 제3호 (1999.12) pp.244-253
Landsat-5 TM과 수치지형데이타를 이용한 도시내 산림의 지형환경 분석 - 대전시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0권 제1호 (1996.08) pp.5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