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530-548
야생동물의 종자산포에 의한 종다양성 증진과 자연림 복원 효과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10-11
주요 산림복원사업지 내 귀화식물의 특성과 공종 간 영향 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5호 (2022.10) pp.481-49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4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3호 (2022.06) pp.338-349
산림 식생 복원지역 식생 변화– 무등산국립공원과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1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p.9-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1호 (2017.02) pp.62-7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6호 (2012.12) pp.923-933
청도군 운문사 문화경관림 식생구조 특성과 식생경관 회복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44-4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2호 (2012.04) pp.219-232
서울시 강북구 솔밭근린공원 소나무림 답압 피해 복원사업 효과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118-121
국립공원 인공림의 생육밀도 및 천이특성을 고려한 복원관리기법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2호 (2009.10) pp.120-12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1호 (2009.04) pp.120-1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5호 (2007.10) pp.449-45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4호 (2004.03) pp.316-32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3호 (2001.12) pp.207-212
수도권 지역 아까시나무림의 식생구조의 자연성 복원 모델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2호 (2001.08) pp.159-172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I) - 남, 동해 몇몇 도서의 관속식물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1호 (1997.04) pp.6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