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아 16s rRNA 영역 분류 방법에 따른 산림 벌채지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7
한국의 주요 국립공원 내 구상나무군락의 토양 환경 특성 -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8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1호 (2017.02) pp.62-7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1호 (2015.02) pp.88-9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p.14-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5호 (2012.10) pp.780-78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5호 (2010.10) pp.566-574
집적한 산림표토의 환경조건이 매토종자와 토양동물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208-21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204-207
산림식생과 토양특성 분석을 통한 도시숲 관리방안 -대전시 도시숲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213-2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1호 (2010.02) pp.54-61
식재 침엽수 숲길과 숲 가장자리 분포 식생 및 매토종자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4호 (2008.08) pp.409-419
산성강하물과 산림토양 화학성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3호 (2008.06) pp.260-267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 야영장 조성지와 인접 산림지역의 토양 특성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6호 (2007.12) pp.487-49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4호 (2006.12) pp.407-414
산화가 초본층의 발샐 및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미친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2.08) pp.141-14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0.04) pp.3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