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F 2030 달성을 위한 사찰림 OECMs 등재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9권 제1호 (2025.02) pp.102-111
일본 해안림학회지 논문 중심의 우리나라 해안방재림 연구방향 모색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55-56
계곡림 군집구조특성 분석 - 홍천 공작산, 김천 황악산, 부산 금정산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24-2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1호 (2024.02) pp.108-12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119
도시숲 조성을 통한 자연기반해법(NbS) 적용 사례 분석 - 문래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7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39-4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p.35-3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5호 (2022.10) pp.507-524
기후변화에 따른 국립공원 아고산대 상록침엽수군락 보전관리 방안 모색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3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p.3-4
난대 상록활엽수림과 곰솔림 임분 특성 및 NVOCs 발산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4호 (2022.08) pp.402-412
바람길숲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및 관련계획과의 연계방안 마련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p.24-2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1호 (2022.02) pp.87-101
전라남도 섬 지역의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복원을 위한 적합지 예측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5호 (2021.10) pp.558-568
Sentinel-2 위성영상과 deep learning 알고리즘을 활용한 전남 도서 지역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복원 적합지 선정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2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p.14-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6호 (2020.12) pp.573-58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