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녹지 관점에서 녹지불평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549-56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8
시민참여에 의한 BRT 정류장의 녹지공간 모니터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67-6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5호 (2020.10) pp.466-48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p.67-6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p.59-6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10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p.87-8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374-390
강원도 원주시 공원녹지의 식재 수종 및 식재밀도 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4.04) pp.150-160
학교 운동장과 녹지공간의 UTCI, PMV, WBGT 비교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1호 (2014.02) pp.80-89
그래프 이론을 적용한 서울시 녹지 연결망의 정량적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3호 (2011.06) pp.412-420
도심 가로공간을 활용한 도시녹지 확충방안 연구 - 영등포구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159-162
수변녹지 조성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모델 개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2호 (2010.10) pp.113-117
일본 고베시(신호시(神戶市)) 로코(육갑(六甲))아일랜드 임해매립지의 완충녹지 식재기법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2호 (2010.04) pp.157-165
인천광역시 가좌완충녹지 기능향상을 위한 식재기법 연구 - 공업지역과 주거지역 사이 완충녹지를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237-24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2호 (2009.10) pp.103-107
인천광역시 굴포천변 녹지의 미적 식생경관 기능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1호 (2009.04) pp.117-119
해안 매립도시 완충녹지 조성현황과 기능향상을 위한 식재방안 - 안산시 완충녹지를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6호 (2008.12) pp.691-706
해안매립도시 대규모 조성녹지의 적정 기능설정 및 식재방안 연구 - 시화 MTV 개발사업지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8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2008.04) pp.3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