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영향과 멸종위기종의 서식적합성을 고려한 보전 우선순위 선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2호 (2021.04) pp.193-203
수달의 보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 시계열 자료 기반 잠재 서식적합지역 분석 - 강원도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24-36
천연기념물 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 생육 및 관리 현황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3호 (2019.06) pp.280-291
천연기념물 울릉국화와 섬백리향 군락, 제주 월령리 선인장 군락 그리고 제주 상효동 한란 자생지의 실태분석 및 보전관리 방안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7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150-154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II) -섬개야광나무 서식처현황 및 형태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2호 (2003.08) pp.133-143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에 대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이론의 적용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6권 제1호 (1992.06) pp.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