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칠보치마 자생지의 식물상 및 환경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437-450
HSI와 MaxEnt를 통한 나도승마 핵심서식지 발굴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6호 (2023.12) pp.450-463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 보호를 위한 야생생물 특별보호구역 및 기타효과적인지역기반보전수단(OECMs) 확대 필요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85-86
기후변화대응형 물순환 체계 개선을 통한 생물 서식처 복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62-6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1호 (2022.04) pp.17-18
제품함유유해화학물질 생체축적 계수 확보를 위한 수생태계 점오염원 영향 지점 내에서의 어류 및 서식지 건강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2호 (2021.10) p.54
MaxEnt 분석을 통한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 서식 가능지역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2호 (2021.04) pp.154-163
흑산도 조류 종 및 환경 요인에 따른 번식 후 조류 최적 서식지 탐색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5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p.30-3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1호 (2019.02) pp.86-106
WT-300을 이용한 월동기 고방오리(Anas acuta)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1호 (2019.02) pp.1-8
하동군 악양면 습지 내 두꺼비의 개체군 변동과 서식지 보전방안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6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5호 (2016.10) pp.896-907
네팔의포카라, 카트만두, 룸비니지역의주거지와야생지역에서 소형포유류의수집과관찰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p.46-47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 et Zucc.) Maxim.) 자생지의 생육환경과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4.06) pp.331-34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1호 (2014.04) p.67
제주도 갯금불초(Wedelia prostrata Hemsl.) 자생지의 환경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7권 제1호 (2013.02) pp.1-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2호 (2012.04) pp.247-25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103-109
울릉도 미역고사리(Polypodium vulgare L.) 자생지의 입지환경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2.02) pp.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