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xEnt 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너구리 출몰 예측 및 환경 요인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477-489
HSI와 MaxEnt를 통한 나도승마 핵심서식지 발굴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6호 (2023.12) pp.450-463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고사 소나무 발생 특성 분석 및 위험지역 예측- 앙상블 모형과 MaxEnt 모형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49
MaxEnt 분석을 통한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 서식 가능지역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2호 (2021.04) pp.154-163
수달의 보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 시계열 자료 기반 잠재 서식적합지역 분석 - 강원도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24-36
국내 산양(Naemorhedus caudatus) 의 Maxent 모형을 이용한 서식지 적합성 분석 - 산양 흔적(분변 등) 자료 분석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p.70-71
Maxent 모형을 이용한 멸종위기종 사향노루 서식지 모델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62
MaxEnt 모형 분석을 통한 남북한 접경지역의 금강초롱꽃 자생가능지 예측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5호 (2018.10) pp.469-477
MaxEnt와 GIS를 활용한 여우(Vulpes vulpes) 로드킬 지역 특성 및 예측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95
MaxEnt 모형을이용한뉴트리아(Myocastor coypus) 서식지분포예측 - 낙동강 권역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p.4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