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생물에 대한 대중의 문제 인식: 악어거북 뉴스 기사를 바탕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5호 (2020.10) pp.396-401
종분포모델링을 이용한 외래거북의 서식지 적합성 예측이 실제 분포와 일치할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8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79
외래종 큰입배스가 토종담수어류에 끼치는 생물학적 위해성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83
DMZ 일원 훼손지역의 자생식물 활용 생태복원기술 개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p.66-67
자생종 포식자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의 생태적 제어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1호 (2017.02) pp.54-61
천연 활엽수림에서 주요 자생 초본식물의 분포와 입지인자와의 상관 - 평창군 가리왕산, 중왕산 지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4호 (2010.08) pp.493-49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2호 (2010.04) pp.209-2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8권 제1호 (2004.04) pp.1-6
RAPD를 이용한 자생 민들레 종과 귀화 민들레 종간의 연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2호 (2003.08) pp.169-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