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81-91
수달의 보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 시계열 자료 기반 잠재 서식적합지역 분석 - 강원도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24-36
천연기념물 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 생육 및 관리 현황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3호 (2019.06) pp.280-291
천연기념물 모감주나무군락의 실태조사를 통한 맞춤형 보전관리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8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5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3
천연기념물 울릉국화와 섬백리향 군락, 제주 월령리 선인장 군락 그리고 제주 상효동 한란 자생지의 실태분석 및 보전관리 방안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7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474-484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 III. 몇 개의 히어리 자연집단과 벌채집단 간 개체군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2호 (2006.06) pp.227-23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9권 제3호 (2005.09) pp.287-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