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물 약용수의 자생지 식생 구조와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 꾸지뽕나무・마가목・헛개나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5호 (2023.10) pp.347-36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1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1호 (2021.02) pp.37-4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6호 (2014.12) pp.741-75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2호 (2012.10) pp.15-1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권 1호 (2010.04) pp.62-66
충북지역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1권 제5호 (2007.10) pp.432-441
경기도 축령산 등산로 주변 잡초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3호 (2003.12) pp.232-241
한국 자생 산돌배와 돌배나무의 조성, 분포, 입지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2.08) pp.160-171
덕유산의 침광혼효림에 분포하는 임상선태류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2.08) pp.131-14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2호 (2001.08) pp.125-13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0.04) pp.88-98
울릉도 성인봉과 태하령지역 산림식생의 분류에 관한 연구 -TWINSPAN과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0.04) pp.5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