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대규모 로드킬 사례 보고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78
치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 및 속리·가야산국립공원 구상나무 소군상 자생지 조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91
평지형 대규모 도시공원 내 거리별 기상특성 및 이온지수 평가 - 서울시 올림픽공원을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p.49-50
조릿대는 왜 평생 한 번 대규모로 꽃을 피우고 죽는가? ‐조릿대 개화지의 외적 환경인자 분석 및 그 생활사 전략‐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64-577
서울시 생활권 도시숲의 유형과 규모에 따른 이용행태 비교 연구 - 봉제산⋅아차산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1호 (2014.02) pp.90-98
서울시 대규모 녹지가 주변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 ‐ 선정릉을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p.109-110
서울시 대규모 녹지의 토지피복 및 식생구조에 따른 온도 차이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143-147
대규모 습지의 Ramsar Site 지정 가능성 검토 및 관리방안 연구 - 한강하류 장항습지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3호 (2010.06) pp.249-257
소규모 개발 사업지의 정밀 임상도(영급) 작성 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4호 (2008.08) pp.396-408
광역스케일의 환경 인자를 이용한 어류, 식물, 조류 종수의 공간적 분포에 대한 모델링 - 일본의 주요수계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4호 (2008.08) pp.347-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