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유산국립공원의 미사용 스키슬로프 구간의 식물상 및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p.78-7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3호 (2016.06) pp.376-385
저지대 이차림지역의 매토종자 발아특성 -예산군의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6호 (2014.12) pp.705-714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봉-중봉 구간 사면에 따른 식물상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2호 (2011.11) pp.158-160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봉-중봉 구간 사면에 따른 식물상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1호 (2011.04) pp.158-160
교목류 뿌리의 비탈면 안정효과 분석 - 뿌리의 인장강도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1호 (2011.02) pp.31-36
인위적 훼손비탈면 복구지의 실태 조사 - 채광․채석지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2호 (2009.10) pp.234-237
강원도 정선군 백운산 High 1 스키장 슬로프 개발 지역의 주목 생육현황 조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제4호 (2009.08) pp.302-308
절개지 토양에서 수분조건과 근류균 접종이 등나무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4호 (2006.12) pp.425-435
리싸이클링에코녹화공법을 이용한 자연식생 재현 모니터링 -장흥다목적댐 배면부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1호 (2006.03) pp.1-8
월악산국립공원 만수골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9권 제2호 (2005.06) pp.99-105
백두대간 덕유산국립공원 송계사-못봉-월하탄지역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8권 제2호 (2004.06) pp.124-130
임도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식물 선정 및 관속식물상 -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임도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3호 (2003.12) pp.201-209
지리산국립공원 상부운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4호 (2003.03) pp.457-464
지리산국립공원 바래봉지역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6권 제4호 (2003.03) pp.449-45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5권 제4호 (2002.03) pp.361-368
계룡산국립공원 연애골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4호 (2001.03) pp.303-310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4호 (2001.03) pp.296-302
지리산국립공원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0.04) pp.11-17
지리산국립공원 쌍계사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3권 제4호 (2000.03) pp.340-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