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reation Ecology 관점에서 국립공원 탐방로 개설에 따른 식생 변화 - 설악산국립공원 곰배골 신규 탐방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55
국립공원 탐방로 개설에 따른 야생동물 출현 변화 - 설악산국립공원 곰배골 신규 탐방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6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2권 1호 (2012.04) pp.153-157
야생동물의 행동권을 고려한 설악산 국립공원과 오대산 국립공원간 서식지 연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9권 제2호 (2005.06) pp.150-161
국립공원 탐방예약제 시행에 대한 탐방객 의식 조사 - 설악산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1호 (2003.04) pp.92-10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4호 (1998.03) pp.506-5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4호 (1998.03) pp.480-485
운동강도 평가를 이용한 국립공원 등산로의 관리대책 - 설악산국립공원과 계룡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4호 (1998.03) pp.469-479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4호 (1998.03) pp.397-40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4호 (1998.03) pp.391-39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0권 제2호 (1997.03) pp.184-190
선조사법에 의한 설악산 천불동계곡 나비류의 다양성과 풍부도의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0권 제2호 (1997.03) pp.171-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