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출현자료와 종분포 모형 자료를 활용한 공간 보전 우선순위 선정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p.41-42
생태복원 식물종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5호 (2021.10) pp.525-547
개발영향과 멸종위기종의 서식적합성을 고려한 보전 우선순위 선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2호 (2021.04) pp.193-203
기후변화환경하에서멸종위기식물섬시호(산형과)의보전방안마련을위한 광, 수분, 영양소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5호 (2016.10) pp.803-809
기후변화환경 하에서 멸종위기식물 섬시호(산형과)의 보전을 위한 환경요인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8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p.23-2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4호 (2011.08) pp.498-5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9권 1호 (2009.04) pp.21-2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2권 제2호 (2008.04) pp.138-144
식물종 및 식물군락의 중요도 평가의 기준-식물종 및 식생의 보전등급 설정에의 응용-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7권 제4호 (2004.03) pp.383-395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강원도 계방산 지역 양서, 파충류의 종다양성 및 군집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1권 제1호 (1997.04) pp.84-9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7권 제2호 (1994.02) pp.11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