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음향 자동분류기술을 이용한 종 분포 특성 및 도래 양상 연구 - 뻐꾸기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53
생물종 출현자료와 종분포 모형 자료를 활용한 공간 보전 우선순위 선정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p.41-4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1호 (2024.02) pp.55-66
생물모니터링 및 환경유전자(eDNA)를 이용한 침입외래종 미국가재(Procambarus clarkii)의 한국분포 현황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4호 (2022.08) pp.368-380
멸종위기종 팔색조 전국 번식울음 분포 및 생물계절 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2호 (2022.04) pp.139-149
산림생태계 보호구역에서 외래식물 분포 예측을 위한 최적 모형의 선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6호 (2020.12) pp.589-600
종분포모델링을 이용한 외래거북의 서식지 적합성 예측이 실제 분포와 일치할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8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80
외래어종(배스, 블루길, 무지개송어) 분포지역 내의 멸종위기 공서종 분석 및 관리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108
영산·섬진 수계에서 보 (Weir) 건설 전·후의 생태위해종 (배스) 분포 확산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81
국내 멸종위기양서·파충류의 공간적 분포형태와 주요 분포지역 예측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4호 (2017.08) pp.381-396
한국의 보호구역에서 외래식물 분포 예측을 위한 공간 모형 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3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4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1호 (2016.02) pp.58-70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p.92-93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참매의 서식지 예측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333-34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11
한국산 멸종위기종 산굴뚝나비(나비목, 네발나비과)의 분포와 개체군 동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5호 (2014.10) pp.550-558
멸종위기종 한계령풀(Leontice microrhyncha S. Moore)의 서식지 및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6호 (2011.12) pp.819-827
한국과 일본의 동해안 지역에 분포하는 산림군락의 종조성과 분포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3호 (2011.06) pp.327-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