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BF 2030 달성을 위한 사찰림 OECMs 등재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9권 제1호 (2025.02) pp.102-111
쿤밍-몬트리올 GBF 달성을 위한 사찰림의 산림OECM 개별 평가 - 영월 법흥사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48-4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18
쿤밍-몬트리올 GBF 달성을 위한 사찰림 OECM 등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p.8-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39-40
영남권 사찰림일대 소나무장령림의 미기후 조절 효과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4호 (2020.08) pp.294-30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6호 (2019.12) pp.722-733
두륜산도립공원 상록활엽수림의 식생 특성 -대흥사 일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5호 (2019.10) pp.552-56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96
대둔산도립공원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 -안심사 일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6호 (2018.12) pp.646-657
전남 사찰림에서의 소나무 생육과 입지환경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4호 (2017.08) pp.409-419
사찰림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타당성 조사 연구 ‐ 통도사 사찰림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1호 (2017.04) p.64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의 식물군락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6호 (2014.12) pp.715-72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4.11) pp.128-129
온대중부지방 느티나무림 군락식재 모델 개발 연구 -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수종사 계곡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47-48
지리산국립공원 남부 사찰 내에 식재된 목 · 초본류의 실태 현황 - 천은사, 화엄사 및 연곡사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12-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9
용문사 계곡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 및 22년간(1988~2010년) 변화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7권 제3호 (2013.06) pp.369-38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7권 제1호 (2013.02) pp.7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