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P기법을 적용한 생태계서비스 InVEST 모형 서식지질 기준 설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1호 (2024.02) pp.67-78
생물음향탐지기법을 활용한 한국 참깽깽매미 서식 및 번식울음 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6호 (2022.12) pp.592-602
InVEST 모델을 이용한 가지산도립공원의 서식지질 분석과 생태계서비스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3호 (2022.06) pp.318-326
QGIS를 이용한 InVEST 모델 서식지질 분석 및 평가- 21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6권 제1호 (2022.02) pp.102-111
종분포모델링을 이용한 외래거북의 서식지 적합성 예측이 실제 분포와 일치할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82
국내 산양(Naemorhedus caudatus) 의 Maxent 모형을 이용한 서식지 적합성 분석 - 산양 흔적(분변 등) 자료 분석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p.70-71
Maxent 모형을 이용한 멸종위기종 사향노루 서식지 모델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62
QGIS를 활용한 InVEST 모델 서식지 질 평가 -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1호 (2020.10) pp.41-42
경관지수를 활용한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 분비나무개체군의 서식지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2호 (2020.04) pp.170-178
WT-300을 이용한 월동기 고방오리(Anas acuta)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1호 (2019.02) pp.1-8
MaxEnt 모형 분석을 통한 남북한 접경지역의 금강초롱꽃 자생가능지 예측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5호 (2018.10) pp.469-477
매트릭스 기법을 활용한 멸종 위기종 사향노루 서식지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112
묵논을 활용한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지 재현가능성에 대한 복원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p.61-62
한국산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서식지 이용 패턴 비교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4호 (2017.08) pp.397-408
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흰뺨검둥오리의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2호 (2016.04) pp.146-154
위치추적기(WT-200)를이용한흰뺨검둥오리의서식지이용에관한연구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p.34-35
인과순환구조 분석을 통한 큰고니 서식환경 유지방안 -을숙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353-367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참매의 서식지 예측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333-343
MaxEnt 모형을이용한뉴트리아(Myocastor coypus) 서식지분포예측 - 낙동강 권역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p.4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