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곡림 군집구조특성 분석 - 홍천 공작산, 김천 황악산, 부산 금정산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24-25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복원지의 초기 5년간 식생 변화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50
나무의사와 함께하는 시민과학자들의 훼손지복원 식물상 조사 - 월악산국립공원 송계계곡 송어양식장 복원지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p.47-48
경기 북부지역 계곡림의 식물상 및 식물군집구조 특성 - 연천군 신서면 내산리 지역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1호 (2023.04) p.5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고사 소나무 발생 특성 분석 및 위험지역 예측- 앙상블 모형과 MaxEnt 모형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2권 2호 (2022.10) p.49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 식생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5권 제3호 (2021.06) pp.294-304
사방댐이 설치된 산지계곡의 장마 전·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2호 (2020.04) pp.121-129
가야산 포천계곡의 생태관광자원 활용을 위한 식생구조 분석과 관리 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6호 (2019.12) pp.695-70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7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1호 (2016.02) pp.81-9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p.18-19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1호 (2015.04) pp.13-14
북한산국립공원송추계곡이주사업단지의 생태계건강성평가지표개발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1호 (2014.04) pp.85-86
북한산국립공원송추계곡의어류및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포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4권 1호 (2014.04) pp.68-6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1호 (2014.02) pp.45-54
온대중부지방 느티나무림 군락식재 모델 개발 연구 -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수종사 계곡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p.47-48
용문사 계곡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 및 22년간(1988~2010년) 변화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7권 제3호 (2013.06) pp.369-380
국립공원 산불통제구간내 야생동물 서식현황 분석 ‐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피아골계곡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p.71-72
순천시 조계산 선암사계곡(선암교~비석거리탑 구간) 식생구조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p.33-3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5호 (2012.10) pp.770-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