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밀도와 식생 유형이 대형산불 피해에 미치는 영향 - 2023년 홍성산불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6호 (2024.12) pp.634-64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8권 제5호 (2024.10) pp.530-548
식생정보에 기초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 유형별 실태조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4권 제6호 (2020.12) pp.558-57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3호 (2017.06) pp.297-31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5권 2호 (2015.10) p.5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454-461
비점오염 저감시설 중 자연형 시설의 유형별 식생현황 조사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1호 (2013.04) pp.99-10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6권 제4호 (2012.08) pp.576-58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5호 (2011.10) pp.760-766
비오톱지도 신뢰도 판단을 위한 식생유형 공간구획의 정확성 고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4권 제5호 (2010.10) pp.575-581
인천광역시 산지형 도시녹지의 식생구조 및 관리계획: 강화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2권 제2호 (1998.08) pp.119-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