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국립공원 탐방로 특성에 따른 야생동물 출현 현황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30-31
야생동물의 종자산포에 의한 종다양성 증진과 자연림 복원 효과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2호 (2024.10) pp.10-1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p.51-52
육교형 생태통로 유무에 따른 중대형 포유류 점유도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p.38-39
카메라 트래핑을 활용한 시암재 생태통로 야생동물 이용 현황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4권 1호 (2024.04) p.2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7권 제5호 (2023.10) pp.337-346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 보호를 위한 야생생물 특별보호구역 및 기타효과적인지역기반보전수단(OECMs) 확대 필요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3권 2호 (2023.10) pp.85-86
딥러닝 기반의 객체 검출 알고리즘을 활용한 야생동물 객체인식 기초 연구 -국립공원 생태통로 무인센서카메라 영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31권 1호 (2021.04) p.26
기후적측면에서의 야생동물의 출현현황 및 서식특성 - 멸종위기종 사향노루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2호 (2019.10) p.91
국립공원 탐방로 개설에 따른 야생동물 출현 변화 - 설악산국립공원 곰배골 신규 탐방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65
야생동물 서식지 확대 사례 보고 -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9권 1호 (2019.04) p.53
입지여건에 따른 낙엽생산과 분포에 관한 연구-야생동물 먹이자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1호 (2018.04) pp.49-50
소백산국립공원 죽령생태통로 내 인공구조물 설치에 의한 야생동물 이용현황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7권 2호 (2017.10) p.75
생태통로 내부 식생구조에 대한 지표성 딱정벌레류(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의 반응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2호 (2016.04) pp.185-198
백두대간(육십령-덕치)에서식하는야생동물현황과등산객의간섭a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6권 1호 (2016.04) p.38
야생동물의 존재에 대한 인지 및 야생동물의 종류(곰과 고라니)에 따른 국립공원 방문객의 휴양경험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9권 제4호 (2015.08) pp.615-625
전문조사원 경험에 의한 야생동물 서식지 예측모형 - 대천천.청라댐 유역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8권 제4호 (2014.08) pp.393-40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2013.10) p.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7권 제1호 (2013.02) pp.64-7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제4호 (2011.08) pp.601-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