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1호 (2018.02) pp.39-4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2권 제1호 (2018.02) pp.1-22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교사의 스트레스와 긍정・부정감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606-614
방과후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95-605
잠재 보호지역 발굴을 통한 국가 보호지역 확대 방안‐ 보호지역 부합성에 대한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86-594
천연기념물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의 방문객 특성에 따른 활용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78-585
조릿대는 왜 평생 한 번 대규모로 꽃을 피우고 죽는가? ‐조릿대 개화지의 외적 환경인자 분석 및 그 생활사 전략‐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64-577
CO2 농도와 온도 변화가 기생 약초인 천마의 생육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57-563
최근 10년(2006~2015년) 동안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공간분포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49-556
봉선사천의 참갈겨니(Zacco koreanus) 재도입 개체군과 원개체군 (조종천, 수동천) 간 생태학적 특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37-54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29-536
한국에 서식하는 아메리카동애등에 Hermetia illucens (Diptera: Stratiomyidae)의 개체군 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20-528
광릉숲 내 봉선사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 및 생물학적 하천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08-519
태안해안국립공원 곤충상 및 유류오염 사고에 따른 사질성 곤충상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500-507
ISSR 마커를 이용한 서식 면적에 따른 퉁퉁마디의 유전적 다양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492-499
개미가 종자를 산포하는 춘계단명식물 깽깽이풀과 현호색의 전파체, 종자산포 및 발아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6호 (2017.12) pp.485-491
금강에 서식하는 꺽지(Coreoperca herzi)의 식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1권 제5호 (2017.10) pp.472-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