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종자생산에 관한 연구. 제2보. 사배체 품종의 종실발달에 따른 천립중 , 탈립 , 발아율 및 수분함량의 변화 Seed Production Studies in Italian ( Lolium Multiflorum Lam. Italicum ) II. Moisture content , seed weight , shattering and germination in ripening process of Italian ryegrass

류종원, 강정훈, 박병훈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674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 5 No. 1 (1985.04)
pp.79-83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우리나라에서 많이 보급되고 있는 사배체품종(四倍體品種)들의 채종적기(採種適期)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Giant, Wase king, Wase hope, Tetrone를 공시(供試)하여 1984년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개화후(開花後) 10일(日)부터 34일(日)까지 주기적(週期的)으로 6회(回)에 걸쳐 종실(種實)의 수분함량(水分含量) 탈립(脫粒), 천립중(千粒重), 발아율(發芽率)을 조사(調査)하였다. 1. 수분함량(水分含量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ing time of tetraploid Italian ryegrass. Moisture content, 1000-seed weight, germination and seed shattering were investigated at six harvesting times after anthesis in 1984 at Suweo

키워드
저자
  • 류종원(축산시험장)
  • 강정훈(축산시험장)
  • 박병훈(축산시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