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액상구비 및 요소의 시용수준이 Orchardgrass 초지의 생산성과 토양중 NO-N 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lurry and Urea Fertilization Levels Application on Productivity of Orchardgrass and NO-N Content of Soil

정호석, 육완방, 방효절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982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 13 No. 4 (1993.12)
pp.278-285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요소의 시비수준을 0, 100, 200 kg/ha로 하고 가축분뇨의 시용량을 질소함량을 기준으로 0. 40, 80, 160 kg/ha로 했을 때 영년 Orchardgrass 초지의 생산성과 토양중 NO-N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지의 생산성은 요소 N 시용량이 100 kg/ha 수준까지에서는 분뇨 N의 시용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 주었으나 요소 N의 시용량이 200 kg/ha 수준에서의 분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vity in permanent orchardgrass grassland according to the urea fertilization levels of 0, 100, 200 kg N/ha and the animal excreta fertilization levels of 0. 40, 80, 160 kg N/ha on the basis of N con

키워드
저자
  • 정호석(건국대학교 축산대학)
  • 육완방(건국대학교 축산대학)
  • 방효절(경기도 종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