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Seeding Vigor of Birdsfoot Trefoil Entries Differing in Seed Size 종자 크기가 다른 두 계통의 벌노랑이 유식물의 활력 비교

S. N. Hur, C. J. Nelson, P. R. Beuselinck, J. H. Coutts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5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 14 No. 3 (1994.09)
pp.186-194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넓은 잎 벌로랑이의 이용에 있어서 초기생육 부진이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유식물 활력증진을 위한 육종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종자가 작은 MO-20과 종자가 큰 302921 두 채통을 와 의 생육상에서 재배하여 유식물 활력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산화탄소 교환솔(CER)은 적외선 가스분석기를 이용하여 closed system으로 측정하였다. 암호흡솔은 Gilson 호흡계로 측정하였으며 일당 순탄소 축적솔과 유식물 생장분석도 조

Lack of seedling vigor is considered a serious deterrent to use of broadleafed birdsfoot trefoil (Lorus comicul~rus L.). Our objectives were to compare early seedling growth of broadleafed birdsfoot trefoil cultivar "MO-20" and the large-seeded accession

키워드
저자
  • S. N. Hur
  • C. J. Nelson
  • P. R. Beuselinck
  • J. H. Cout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