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Triticale의 사료성분과 in vitro 건물소화율에 미치는 생육시기의 촬영 Effects of Maturing Stages on Chemical Composition for Feed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Triticale

윤승길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522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 20 No. 3 (2000.09)
pp.227-232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Triticale을 사료로서의 특성을 알기 위하여 밀(북견 66호, 월한1호, 치오쿠코무기), 호밀(Amilo, W Warko, Mardar), triticale(Moniko, Presto, Tewo)을 출수기, 유숙기, 호숙기, 황숙기에 수확하여, 건물 수량, 사료성분 및 IVDMD을 조사했다. 1. 재료의 건물수량은 어느 초종도 생육에 따라 증가했고, triticale은 다른 2종의 초종보다 수량성이 우수했다. 2. triticale의 사료성분은 대

Triticale(Moniko, Presto, Tewo), wheat(Kitami 66, Tsukisarnul, chihoku) and rye(Almo, Warko, Mardar) were harvested in heading, milk, dough and ripe stage. Effects of various harvesting stage on the feed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digestibility(IVD

저자
  • 윤승길(한경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