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양마의 제주지역 지역 적응성,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Study on Adaptation,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 Value of Kenaf(Hibiscus cannabinus L.) on Jeju Province

황경준, 김문철, 강시용, 유장걸, 송상택, 박남건, 김종하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530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 22 No. 4 (2002.12)
pp.287-296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양마의 적응성과 생산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해서 양마 Evergrlades 41, China Chong-pi 3 및 수수수단 교잡종 Pioneer 947를 이용하여 2000년 5월부터 11월까지 제주의 4개 지역( 제주시, 서귀포시, 성산 수산 및 한림 금악)에서 수행되었다. 건물수량은 수수수단 교잡종 (pioneer 947), 양마 (Everglades 41) 및 (China Chong-pi 3)을 비교시 각각 7,313,

A field trial was conducted from May to November 2000 at four regions of Jeju province(Jeju, Seogwipo, Susan Seongsan and Keumak Hallim) to estimate adaptation,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 value of kenafs(Everglades 41 and China Choung-pi 3) and a sorgh

저자
  • 황경준(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김문철(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강시용(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유장걸(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송상택(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
  • 박남건(제주농업시험장)
  • 김종하(남제주 농업기술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