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제주재래수수의 점파립수에 따른 사료수량 및 조성분 분석 Effects of Number of Seeds per Hill in Dibbling on Growth Character, Yield and Feeding Value in Jeju Native Sorghum

조남기, 강영길, 송창길, 전용철, 오장식, 조영일, 박성준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538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 24 No. 2 (2004.06)
pp.129-136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점파립수(1, 2, 3, 4, 5 및 6립)에 따른 제주재래수수의 생육반응, 수량,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0년 4월 3일부터 9월 6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66일에서 69일로 점파립수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점파립수가 많을수록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초장은 1립 점파에서 201.6cm이었던 것이 3립에서 206.7cm로 길어졌으나, 점파립수가 그 이상으로 증

Jeju native sorghum was grown at six spot seeding rates (1, 2, 3, 4, 5 and 6) from April 3 to september 6, 2000 in Jeju island to determine influence of number of seeds per hill in dibbling on agronomic characters, forage yield and qualities. Days to head

저자
  • 조남기(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과)
  • 강영길(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
  • 송창길(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
  • 전용철(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
  • 오장식(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
  • 조영일(서울대학)
  • 박성준(제주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과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