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파종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 생산능력 Forage Performance Evaluation of Rye Cultivars with Different Sowing Dates

김수곤, 김종덕, 권찬호, 하종규, 김동암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5454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 26 No. 1 (2006.03)
pp.31-38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파종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생산능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배치는 동일한 포장에서 10처리 3반복의 분할구배치로 주구에는 9월 15일과 9월 30일의 파종시기를, 세구에는 'Kodiak', 'Koolgrazer', 'Danko', 'Homil22', 'Olhomi1' 품종을 두었다. 조기파종시의 건물(DM) 함량은 각각 19.7%로 만기파종시의 17.8% 보다 높았으나, 조단백질(CP) 및 가소화영양소총량 (TDN) 함량에 있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sowing dates and cultivars on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of winter rye (Secale cereale 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plit 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main plots

저자
  • 김수곤(천안연암대학)
  • 김종덕(천안연암대학)
  • 권찬호(천안연암대학)
  • 하종규(서울대학교)
  • 김동암(서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