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간척지에서 요소 및 유안비료 시용이 총체보리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rea and Ammonium Sulfate Application on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Whole Crop Barley in Reclaimed Tideland

신재순, 김원호, 이승헌, 임영철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545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 26 No. 1 (2006.03)
pp.25-30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간척지에서 요소와 유안비료의 시용이 총체보리의 수량성, 사료가치 그리고 토양염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2003년 10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충남 당진에 위치한 대호간척지에서 시험한 결과, 평균 토양 염류도는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구(T3, T4 및 T5)에서 낮게 나타났다. 생초수량은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T3, T4 및 T5 처리구에서 각각 62% (p>0.05), 41%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fresh yield and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s of whole crop barley treated with Urea (200 kg/ha, T2) and ammonium sulfate fertilizer as 200 kg/ha (T3), 300 kg/ha (T4) and 400 kg/ha (T5) at the Bae-Ho r

저자
  • 신재순(축산연구소)
  • 김원호(축산연구소)
  • 이승헌(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임영철(축산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