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호남지역 답리작에서 사료용 총체보리 우량품종 선발 Selection of Promising Barley Cultivar for Silage at Paddy Field of Honam Region

김원호, 서성, 임영철, 신재순, 성병렬, 지희정, 이상진, 박태일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55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 27 No. 3 (2007.09)
pp.161-166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 우량 품종 선발을 하고자 호남지역 익산(호남농업연구소)에서 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과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50% 출수기는 품종간에 비슷하였으나 긴쌀보리만 5월 3일로 가장 늦었다. 건물률은 쌀보리와 겉보리가 각각 37.9%와 37.1%였다. 건물수량에 있어 쌀보리인 새쌀보리와 내한쌀보리에서 11,260와 11,160 kg/ha으로 많았고 긴쌀보리에서 7,530 kg/ha으로 적었다. 그리고 겉보리에서는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barley at paddy field of Iksan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from 1998 to 2001. The most fast 50% heading stage date variety was Keunalbori, Tapkolbori a

저자
  • 김원호(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서성(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임영철(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신재순(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성병렬(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지희정(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이상진(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박태일(호남농업시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