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춘계단명식물들의 종자들은 모식물체에서 미숙 배를 가지고 탈리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종자들은 형태학적 또는 형태생리학적 휴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몇 가지 자생 관상용 춘계단 명식물들의 형태학적인 종자휴면 연구를 위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깽깽이풀, 한계령풀, 복수 초, 매발톱꽃, 동강할미꽃, 바위미나리아재비, 얼레지 및 큰연영초의 종자를 5월부터 6월 사이에 채종하여 배의 형태와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8종 모두 미숙배 종자였다. 한계령풀의 종자는 심장형 배를, 깽 깽이풀, 복수초, 매발톱, 바위미나리아재비 및 동강할미 꽃의 종자는 어뢰형 배를 가지고 있었다. 백합과의 얼 레지와 큰연영초는 구형과 심장형의 중간형태 정도였다. 동강할미꽃과 바위미나리아재비는 배의 길이가 종 자 길이의 15% 이상이었고, 나머지는 10% 미만이었다. 매발톱과 동강할미꽃은 30일 동안 각각 92%, 84%가 발아하였으나, 나머지 종자들은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따라서 매발톱과 동강할미꽃은 형태적 휴면으로, 나머 지 종자들은 형태생리적 휴면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은 추후 형태적 종자휴면을 연구하는데 유용 한 자료가 될 것이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many spring ephemeral plants have underdeveloped embryos at seed harvest. The seeds with underdeveloped embryos at harvest have morphological (MD) or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rve basic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of morphological dormancy of seeds in several ornamental spring ephemerals native to Korea. Seeds of Leontice microrhyncha, Jeffersonia dubia, Adonis amurensis, Aquilegia buergeriana, Pulsatilla tonkangensis, Ranunculus crucilobus, Erythronium japonicum, and Trillium tschonoskii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and embryo morphology and seed germination were investigated. All seeds of eight species had underdeveloped embryos which occupied about 7-20% of the full seed length at harvest. The seeds of L. microrhyncha had heart-shaped embryos, whereas the seeds of J. dubia, A. amurensis, A. buergeriana, P. tonkangensis, and R. crucilobus had torpedo-shaped embryos. The seeds of two Liliaceae species, E. japonicum and T. tschonoski, had intermediate type between globular and heart-shaped embryo. After 30 days, the seeds of A. buergeriana and P. tonkangensis germinated to 92% and 84%,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no seeds of the other species germinated. It is concluded that seeds of A. buergeriana and P. tonkangensis have morphological dormancy (MD), whereas seeds of the others species hav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information to determine morphological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