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저온처리 기간, 온도 및 광 조건이 자생초롱꽃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Flowering of Campanula Species as Affected by Duration, Temperature, and Light Condition during Chilling Treatment

이영미, 박유경, 정병룡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743
화훼연구
Vol. 19 No. 1 (2011.03)
pp.22-29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저온처리기간, 온도 및 광의 유무가 초롱꽃 4 종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주로 사용된 고성종인 자주초롱꽃, 왜성종인 애기초롱꽃 2 품종과 이들의 교잡 육성된 ‘직녀’, ‘견우’ F1 2 품종의 조직배양묘를 식물재료로 사용하였다. 조직배양묘는 광 도가 약 75 μmol·m2·s−1이고 온도가 25oC인 기내에서 5주 동안 발근시켰다. 광의 유무는 알루미늄 호일로 포장한 암처리와 명처리(약 10 μmol·m2·s−1 PPFD)를 사 용하였고, 저온처리기간은 3, 6, 또는 9주로 하여 4와 25oC 온도에서 저장하였다. 저온처리 후 식물을 10 cm 화분에 상토를 채워 이식하여 생장조절챔버에서 순화시 켜 온실로 옮겨 재배하였다. 4종 중 자주초롱꽃에서 생존 율이 가장 높았다. 생존율은 암처리보다 명처리에서 더 높았다. 기내에서 6주 이상 저장된 처리구는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4종을 실험한 결과 개화를 한 품종은 ‘직 녀’로 저장기간 3주, 명처리, 25oC에서 62.8%의 높은 개화율을 보였다. 개화는 온도, 저장기간, 그리고 광의 유무에 따라 영향이 있었다. 저장기간 3주, 암조건, 4oC 에서 저장한 처리에서 현저하게 개화소요일수가 단축되 고 개화특성도 좋았다. 이 결과는 개화를 위해 저온을 요구하는 것은 질적인 것보다 양적임을 암시한다. 이 실험은 조직배양묘를 사용하여 저온처리를 하고 순화 하는 과정에서 많이 고사하였으므로, 식물의 개체수를 더 늘려서 이 결론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The experiment investigated effect of duration, temperature, and light condition during chilling treatment on growth and flowering of four Campanula species in a factorial experiment. Two parent species, Campanula punctata Lam. var. rubriflora Mak. and C. Punctata Lam., and their two F1 hybrids, C. punctata Lam. × C. punctata Lam. var. rubriflora Mak. (‘Jiknyeo’) and C. punctata Lam. var. rubriflora Mak. × C. punctata Lam. (‘Gyeonu’), were used. Plants were cultured in vitro for five weeks at 25oC under about 75 μmol·m−2·s−1 PPFD before being chilled at 4 or 25oC for 3, 6, or 9 weeks under a darkened or lighted (about 10 μmol·m−2·s−1 PPFD) condition. After chilling treatment, plants were transplanted to 10 cm pots filled with a commercial growing medium and were transferred to environment-controlled growth chambers and subsequently to a greenhouse to observe their reproductive growth. Growth of all species and flowering of a F1 hybrid ‘Jiknyeo’ were affected by duration, temperature, and light condition during chilling treatment. The greatest growth and survival percentage were observed in C. punctata Lam. var. rubriflora Mak. The survival percentage was greater when plants were chilled in a lighted than darkened condition, whereas it decreased when plants were chilled more than six weeks in vitro. Among the four species tested, flowering was observed only in a F1 hybrid ‘Jiknyeo’ with 62.5% flowering plants when it was chilled at 25oC for three weeks under a lighted condition. Percent flowering plant was affected by duration, temperature, and light condition during chilling treatment. Three-week chilling at 4oC under a darkened condition significantly reduced days to flower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w temperature requirement for flowering is not qualitative but quantitative in Campanula species. Further experiment with more number of plants is necessary to ascertain this conclusion.

저자
  • 이영미(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원예학과) | Young Mi Lee
  • 박유경(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원예학과) | Yoo Gyeong Park
  • 정병룡(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Program) 원예학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경상대학교 생명과학연구원) | Byoung Ryong Jeo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