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나리 종자의 발아율은 20-25oC에서 높았다. 이 온도에서의 솔나리, 땅나리, 털중나리와 하늘나리의 발 아율은 거의 100%, 참나리와 중나리는 각각 88.0%와 73.0%였다. 반면 말나리, 섬말나리와 하늘말나리의 발 아율은 34.0-54.0%로 낮았다. 발아는 대부분 15oC에서 지연되어 발아율이 높은 종일수록 발아소요일수가 단 축되었다. 발아와 일장과는 대체로 무관하였으나 장일 하에서 하늘나리는 촉진된 반면, 말나리와 섬말나리는 억제되었다. 발아속도도 일장효과가 적었으나 중나리는 일장이 길수록 촉진되었고, 섬말나리는 지연되는 경향 이었다. PGRs 온탕처리의 효과를 보면, 땅나리, 솔나리, 털중나리, 참나리와 하늘나리의 발아율은 무처리와 차 이가 없었다. 그러나 중나리는 BA에 의해 발아율이 향상 되었다. 중나리와 참나리는 습윤냉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아율이 향상된 반면, 말나리와 섬말나리는 저하 되었다. 발아소요일수는 습윤냉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종에 관계없이 단축되었다. 건조저장시의 발아율은 실 온보다는 저온저장구에서, 방치구보다는 데시케이터 저 장구에서 높아, 4oC 데시케이터 저장구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하늘나리는 실온에서 장시간 방치시 발아 율이 급격히 떨어졌으나, 중나리는 데시케이터 사용만 으로도 발아율이 장기간 유지되었다.
Germination percentage of Korean native lily seeds was high at 20-25oC. It was almost 100% in L. cernuum, L. callosum, L. amabile, and L. concolor, 88.0% in L. lancifolium, and 73.0% in L. maximowitzii, respectively. Meanwhile, it was low rate of 34.0%-54.0% in L. distichum, L. hansonii, and L. tsingtauense. Germination was mostly delayed of 15oC and days to germination were more shortened in species with higher germination percentage. Even though the effect of daylength was not considerable in germination rate, it was promoted in L. maximowitzii but it was delyed in L. hansonii under long day. The effect of soaking in hot PGRs solution in L. callosum, L. cernuum, L. amabile, L. lancifolium, and L. concolor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non-treatment. However, it was improved by BA in L. maximowitzii. Longer period of cold wet storage resulted in improved germination percentage in L. maximowitzii and L. lancifolium, while it affected decreased percentage in L. distichum and L. hansonii. Days to germination were shortened by longer period of cold wet storage regardless of species. Germination percentage in dry storage was higher under cold temperature than room temperature and under desiccator storage than outside desiccator, it was highest under desiccator storage at 4oC. It was drastically reduced by the non-use desiccator storage at room temperature L. concolor, however it was improved only by the use of desiccator L. maximowitzii for a long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