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전자코를 이용하여 나리 계통간의 꽃 의 향기 조성을 비교하고 향기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개화 단계를 파악하고 부위를 확인함으로써 향기성분 의 이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아시아틱나리 ‘Enchantment’, 나팔나리 ‘Georgia’, 그리고 오리엔탈나리 ‘Con Amore’의 꽃을 식물재료로 사용하여 개화 단계 및 꽃의 기관별 향기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아시아틱나 리는 3개의 피크, 나팔나리는 4개의 피크, 오리엔탈나 리는 6개의 피크로 계통간에 향기성분의 차이가 컸다. 향기 함량은 오리엔탈나리에서 가장 많았고, 아시아틱 나리에서 가장 적었다. 향기의 최대 발생시기의 경우, 아시아틱나리는 개약 단계인데 비해 나팔나리와 오리 엔탈나리는 위조단계였다. 송이 당 꽃향기의 최대발생 기관의 경우 아시아틱나리는 외화피, 나팔나리는 화병, 오리엔탈나리는 내화피였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flower scent among lily species and to grasp the flowering stage and the part of a flower which emits the greatest amount of flower scent using an electronic nose. Cut flowers of Lilium Asiatic Hybrids 'Enchantment’, Lilium longiflorum ‘Georgia', and Lilium Oriental Hybrids ‘Con Amore’ were used as plant materials for comparison.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in flower scent composition among species as Lilium Asiatic Hybrids had three peaks, Lilium longiflorum had four peaks, and Lilium Oriental Hybrids had six peaks. The content of flower scent was the greatest in Lilium Oriental Hybrids, while it was the least in Lilium Asiatic Hybrids. The most diffusive stage of scent was at the beginning of flowering stage in Lilium Asiatic Hybrids. On the contrary, it was at the wilting stage in both Lilium longiflorum and Lilium Oriental Hybrids. The most diffusive organ of a flower was outer perianth in Lilium Asiatic Hybrids, pedicel in Lilium longiflorum, and inner perianth in Lilium Oriental Hybr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