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가야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훼손과 주변 환경에 대한 이용영향 Trail and Campground Deteriorations and Use Impact on their Natural Environment in Mt. Kaya National Park

권태호, 오구균, 정남훈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194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권 제1호 (1989.12)
pp.81-94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가야산국립공원 등산로 및 야영장의 훼손과 주변 자연환경에 대한 이용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989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및 최대 깊이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고, 전체 51개 조사지 점에서 관찰된 훼손형태는 매우 다양하였으며, 훼손된 지점의 등간로 상태중 최대깊이와 등산로물매는 건전한 지점의 상태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등산로주변 토양 및 식생인자의 변화경향을 이용영향의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었고 등산로주변부에 미치는 이용영향은 약 15m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야영장의 훼손은 심각하여 피해도 5등급의 비율이 약 36%이었고 3등급이상인 지역도 약 69%에 달하였다. 야영장에서의 이용활동이 수목의 직경생장을 크게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구성의 이질화를 극심하게 진행시키고 있었다. 야영장의 이용강도의 차이나 이용영향의 범위를 파악하는데 적합한 토양 및 식생인자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용간섭의 영향범위는 약 50m이었다. 야영행위에 대한 내성수종은 물푸레나무, 개옻나무, 노린재나무, 국수나무 등이었다.

Use impacts to trail and campground deteriorations and their changes of natural environment were studied in Mt. Kaya National Park in 1989. The entire width, bare width and maximum depth of trail as the trail condition were significantly greater on the more heavily used trail. Deteriorations of trail which were surveyed at the total of 5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non-deteriorated points. The changes of soil and vegetation of trailsides were not found at a uniform tendency but could be more clearly grouped by the types of user's disturbance, and use impact on trailside had reached 15m inside of forest. Percentage of area for Class 5 in campsite was about 36% and about 69% of campsite area was more severe than Class 3. Recreational activities retarded the diameter growth of trees in campsite and accelerated the different composition of species. Soil and vegetative factors adapt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use amount and the realm of use impact could be sorted. The realm influenced by user's disturbance was about 50m from the core of campsite. Fraxinus rhynchophylla, Rhus trichocarpa,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nd Stephanandra incisa were considered as the tolerant species to user's impact.

Keyword
Author
  • 권태호
  • 오구균
  • 정남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