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에 대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이론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Island Biogeography and Habitat Fragmentation Theory to the Conservation of Protected Areas in Korea

김용식, 마이클모운더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197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6권 제1호 (1992.06)
pp.12-24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우리나라에 있는 보호지역의 보존 및 관리에 대한 제반 문제의 해결을 위한 한 접근방법으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이론의 적용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최근 생물적 다양성의 파괴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보호지역내 자연 서식처에 대한 적절하고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제반 검토를 하였다. 우리나라의 식물상은 주로 인간의 간섭에 의해 계속 변화할 것이다. 다양한 내용의 위협에 처해 있는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과 관리에 대한 이의 바람직한 해결을 위해서는 결과적으로 동, 식물상 또는 집단이나 종 등의 개별적인 접근이 아닌 종합적인 접근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서식처, 종 및 집단의 관리에 대한 위협의 종류, 유효성과 잠재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전략에 대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및 주연부효과 이론 등의 적용은 현존의 서식처 패치에 대한 격리 및 분획화등의 역동적인 관계에 대한 이해를 보다용이하게 해주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접근방법은 우리나라 식물상의 분포특성 및 현상에 대한 제반 지식에 기초를 둔 식물의 보존책의 하나로 이는 우리나라의 보호지역의 보존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적용을 기초로 하여 최소활성화집단의 규모 등의 개념 도입은 식물과 서식처 보존의 보다 바람직한 해결을 위한 종합적인 한 방법이 되리라 생각된다.

The application of island biogepgraphy and habitat fragmentation theory to protected area management in Korea is discussed. The accelerating destruction and degradation of natural habitats, with the associated erosion of biodiversity, demands and urgent response and a critical review of attitudes to protected area management. The flora of Korea will continue to change in both distribution and status in response to these man induced changes.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ecosystems, because of the variety of threats and the varying levels of biodiversity to be conserved, requires an integrated approach. Such an approach assesses the variety of threats, prevalent and potential, and responds with a strategy combining habitat, species and population management. The application of island biogeography, habitat fragmentation and edge effects theory to conservation strategies in Korea will assist in th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the isolation. degradation and fragmentation of surviving habitat patches. The application of such approaches is discussed with recommendations made for the adoption of an increasingly scientific approach to plant conservation based upon a knowledge of the conservation statu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lora. Such data combined with demographic studies on topics such as Minimum Viable Population Size will allow an integrated approach to plant and habitat conservation to progress.

Keyword
Author
  • 김용식
  • 마이클모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