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낙엽활엽수림대 주연부식생구조 발달과정 모니터링(I) -서울대학교 백운산연습림지역을 중심으로- Monito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Broad-leaved Forest -A Case of Baekwoonsan Research fores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오구균, 지용기, 심항용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34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19권 제1호 (2005.03)
pp.19-30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낙엽활엽수림 개벌 후 벌채지에서 주연부 식생구조 발달과정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남부연습림 내 백운산지 역 제26임반 벌채적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1994년에 두 개의 모니터링 조사구를 설치하였고, 1994년, 1997년, 1999년에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벌채 후 6년간 주연부식생 변화는 다음과 같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림주연부에서 경쟁력이 우수한 수종은 병꽃나무, 비목나무, 국수나무, 산초나무 등이었고, 산림주연부와 인접한 조사구에서 경쟁력이 우수한 수종은 고추나무, 비목나무, 덜꿩나무 등이었으며, 벌채지 산림내부에서 경쟁력이 우수한 수종은 병꽃나무, 비목나무, 생강나무등으로 나타났다. 두개의 모니터링 조사구에서 주연부 천이단 계상 우세종은 방위와 국지저 위치, 기존 우점수종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벌채 후 경과년도에 따라 각 벌채지 산림 주연부에서 벌채지 산림내부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유사도지수도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종다양도지수, 종수, 개체수 및 수관피도는 벌채지 산림주연부에서 벌채지 산림내부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edge vegetation development process after timber harvesting at deciduous hardwood fores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ests of Baekwoonsan(Mt), Korea. From 1994 to 1999, Woody plants were monitored on two experimental plots established in 1994. The edge vegetation development pattern during the last six years(1994-1999) after timber harvesting is summarized as follows; Weigela subsessilis, Lindera erythrocarpa, Stephanandra incisa, Zanthoxylum schinifolium appeared to be a competitive species at the harvested forest edge. Staphylea bumalda, Lindera erythrocarpa, Viburnum erosum appeared to be a competitive species at harvested forest border between the harvested forest edge and the harvested interior. Weigela subsessilis, finders erythrocarpa, Lindera obtusiloba appeared to be a competitive species at the forest interior. The mean relative important value of major species were changed along the distance from the forest edge to the forest interior and seemed to be affected by aspect, and existing woody plants. But similarity indices seemed to be affected by distance. Species composition of forest edge(0-10m) was dissimilar to that of the other forest edge(40-50m). Species diversity indices,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forest edge to the forest interior with passing time.

Author
  • 오구균 | Oh, Koo-Kyoon
  • 지용기 | Jee, Yong-Ki
  • 심항용 | Shim, Hang-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