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야생동물의 행동권을 고려한 설악산 국립공원과 오대산 국립공원간 서식지 연결 Habitat Connectivity between Sorak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with a Consideration of Wildlife Home Range

강혜순, 김진영, 박경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36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19권 제2호 (2005.06)
pp.150-161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설악산국립공원과 오대산국립공원은 20.7km 떨어져 있으나 백두대간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 문에 야생동식물의 서식지와 이통통로로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협소한 크기, 조각화, 지 리적 격리와 같은 경관적 특성에 의해 이 두 국립공원은 적절한 생태적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기법을 이용하여 두 국립공원과 인근 속초시, 고성군, 인제군, 양양군, 홍천군 일대 총 면적 4573.6 km2인 지역을 대상으로 조각화 현상을 파악하였다. 또한 육식동물이며 보호종으로 지정된 삵의 서식지조건에 부합하는 경관조각을 파악하고 삵의 이동이 가능한 경관조각들의 연결망과 연결지점을 설정하였다. 다양한 도로와 인위적 시설로 인해 조사지역은 총 24,701개의 경관조각으로 단절되어 있었다. 식생과 최소 서식지면적, 조각간 거리와 같은 서식지 조건을 고려하였을 때 이 중 39개 경관조각이 삵의 잠재서식지로 선택되었다. 나아가 계방산과 방태산 일대의 3개 조각이 국립공원의 조각화와 고립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연결망의 중심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또한 점봉산과 방태산 일대의 조각이 삵이 두 국립공원으로 분산할 수 있는, 공급지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거의 모든 국립공원이 조사된 두 국립공원과 유사한 경관적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야생 생물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국립 공원과 인근 지역에서의 조각화 현상과 경관조각의 연결성을 평가하는 과제가 매우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Soraksan National Park and Odaesan National Park, that are 20.7 km apart,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as habitats and corridors for wildlife because they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Baekdudaegan. However, landscape features such as small area, fragmentation, and geographic isolation seem to impede the proper ecological functions of these two national parks. Using GIS technique, we examined the pattern of fragmentation in these two national parks and adjacent regions (Sokcho-si, Goseong-gun, Inje-gun, Yangyang-gun, and Hongcheon-gun) encompassing a total of 4573.5km2 in area. We then selected the patches suitable for an endangered carnivorous species, leopard cat, based on habitat conditions, and identified the network and stepping stone among patches to enable leopard cats to migrate. Diverse roads and artificial facilities in the study area generated a total of 24,701 patches: 39 patches among these were selected as potential habitats upon considering the habitat condition such as vegetation types and minimum area for leopard cat. Three patches nearby Gyebangsan and Bangtaesan were identified as a potential network center to relieve the effects of fragmentation and isolation of the two national parks.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patches containing Jombongsan and Bangtaesan would act as a source patch from there leopard cats can disperse to both national parks. It is an urgent task to identify the pattern of fragmentation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patches in national parks and adjacent areas for wildlife conservation because almost all national parks confront land- scape problems similar to the two national parks examined in this study.

Author
  • 강혜순 | Kang, Hyesoon
  • 김진영 | Kim, Jin-Young
  • 박경 | Park, Ky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