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전원지역의 녹지구조 현황과 기능개선 방안 - 강원도 양구를 대상으로 - Structural Conditions of Greenspace in a Rural Region and Strategies for its Functional Improvement - In the Case of Yanggu, Gangwon Province -

조현길, 안태원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43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0권 제4호 (2006.12)
pp.493-502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전원지 역 인 양구군을 대상으로 녹지 면적 및 식생구조 중심의 녹지구조를 정량 분석하고, 녹지에 대한 주민태도의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녹지기능을 증진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목피도는 공원이 약 29%로서 녹지공간 유형 중 가장높았고, 상업지 정원이 가장 낮아 3%에 불과하였다. 양구 전원지역의 수목식재는 개발밀도가 높은 도시의 경우보다 더 빈약하였다. 교목의 흉고직경분포는 20cm 미만의 점유비가 전체의 91%로서 도시지 역과 유사하게 유목 및 성장과정의 수목들이 우점하였다. 식재수종들의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상위권 10개 수종 중4개 수종은 도시에서도 상위 10위권 내인 주요 도시경관수종들이었으며, 일부 우점종만 도시지 역과 상이하였다. 한편, 주거지 및 상업지 정원에선 우점종 대부분이 유실수로서 주로 실용적 수종을 식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면적의 점유비는 공원 약 69%, 주거지 정원 39%, 공공용지 정원 37%, 가로 24%, 상업지 정원 15%등이었다. 향후 수목을 식재할 수 있는 잠재식재공간은 가로가 37%로서 현 수목피도를 약 6배, 주거지와 상업지 정원이 각각 19%,7%로서 현 수목피도를 2배이상 증진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녹지구조와 식재기법, 설문조사분석결과에 근거한 녹지확충 및 기능 개선책은 가로 구간별 테마 창출, 다층구조 조성, 정원 나지에 수목식재 및 건물 주변 에너지 절약적 식재 추진 등으로 요약된다.

This study analyzed greenspace structure focused on greenspace areas and vegetation structure for Yanggu, investigated resident attitudes to the greenspace, and explored strategies to improve greenspace functions in a rural region. Woody plant cover was approximately 29% for parks and only 3% for commercial gardens. The amount of planting for Yanggu was poor, 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similar studies for urban areas. Trees, of which dbh was below 20cm, accounted for 91% of all trees and the tree-age structure was largely characterized by a young, growing tree popul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mean importance values (MIV) of woody plant species, only a few were different in dominant species from urban areas. Four species among 10 species with highest MIV in Yanggu were very common species also ranked among 10 in cities. The most dominant species planted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gardens were practical plants such as fruit or edibles. Greenspace covered about 69% of parks, 39% of residential gardens, 37% of institutional gardens, 24% of streets, and 15% of commercial gardens, respectively. Tree planting potential revealed that present woody plant cover can be increased additionally by 6 times in the streets and by 2 times in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 gardens. Based on the results of greenspace structure, planting patterns, and questionary investigation, some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enlarge greenspace including its environmental functions. They included identifying each street section through setting up themes and planting appropriate species, creating multilayered vegetation structures, and promoting planting in bare grounds of gardens and around a buildings for saving energy.

Author
  • 조현길 | Jo, Hyun-Kil
  • 안태원 | Ahn, Tae-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