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마을숲의 식물상 및 식생 The Vegetation and Flora of Village Groves in Paengseong-eup, Pyongtaek City, Gyonggi-Do, Korea

안영희, 이성제, 신경미, 박은진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48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1권 제6호 (2007.12)
pp.515-525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마을 숲은 지역의 전통적인 공동체 삶을 위해 마을 주변에 조성되어 보호되고 유지되어온 숲이다. 본 연구는 미군부대 이전부지 내에 위치하는 마을 숲을 대상으로 식생 및 식물 상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는 현지는 물론 인근 지역의 마을 숲 보전 및 복원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다. 현지 소산 식물상은 양치식물 2과 2속 1종 1변종으로 총 2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나자식물은 2과 2속 3종의 3분류군, 피자식물 중 단 자엽 식물이 5과 10속 11종으로 11분류군, 쌍자엽식물이 24과 39속 40종 3변종으로 43분류군로서 총 33과 53속 55종 4변종의 5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도시화 지수는 4.2%, 귀화율은 20.3%로 타 지역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마을 숲을 구성하는 식생단위는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졸참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졸참나무군락(Quercus serrata community), 찔레군락(Rosa multiflora community)의 4개 군락 단위로 구분되었다. 졸참나무군락은 자연천이에 의해 도태된 소나무 대신 상대적으로 채광적응성이 뛰어난 졸참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유형으로 교목 층뿐만 아니라 아교목 층에 까지 졸참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산업화와 더불어 마을 주민들의 이탈과 가구 수의 축소, 도시화에 의해 마을 숲의 이용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이 지역의 잠재자연식생으로 추정될 수 있는 졸참나무군락으로 소나무-졸참나무군락을 거쳐 천이되는 유형을 보여주고 있었다.

A village grove is the one fostered and protected for a district's traditional community life near the vicinity of a village. This study is done by surveying the vegetation and flora at the village grove situated at the former location for the US military camp. Through such data collected from this study, this researcher could have access to preliminary data needed for restoration project & preservation of not only the village grove surveyed but also the village grove of its neighboring district.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appeared an outgrowth flora of Pteridophyta consisting of 2 families, 2 genuses, 1 species, and 1 variety, totalling to 2 taxa; a Gymnosperm of 2 families, 2 genuses, 3 species, totalling to 3 taxa; in the realm of an Angiosperm, a Monocotyledon consisting of 5 families, 10 genuses, and 11 species, totalling to 11 taxa; Dicotyledoneal consisting of 24 families, 39 genuses, 40 species, and 3 varieties, totalling to 43 taxa, thus revealing 33 families, 53 genuses, 55 species, 4 varieties and 59 taxa in total. Urbanization index(4.2%) and Naturalization ratio(20.3%) showed a relatively higher numerical value than those of other districts. The vegetation unit comprising a village grove is classified Into the four community units, such as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Rosa multiflor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is of a community type dominated by Quercus serrata, in place of Pinus densiflora selected by natural succession, which shows relatively superior lighting adaptability and was surveyed to grow up on not only a tree layer but also a sub-tree layer. With the recent appearance of industrialization, the use of a village grove is reducing due to villagers' leaving, de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urbanization; consequently, there came out a pattern of succession to Quercus serrata community, which could be assumed to b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is district,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Author
  • 안영희 | Ahn, Young-Hee
  • 이성제 | Lee, Sung-Je
  • 신경미 | Shin, Goung-Mi
  • 박은진 | Park, Eun-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