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꼬마잠자리(Nannophya pygmaea Rambur: Libellulidae, Odonata) 서식처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a Restoration of Habitats for Nannophya pygmaea Rambur (Odonata: Libellulidae)

이은희, 장하경, 박민영, 윤지현, 김재근, 배연재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49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2권 제1호 (2008.02)
pp.35-42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꼬마잠자리 서식처의 자연환경을 조사하고, 생물종의 복원과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꼬마잠자리는 잠자리과에 속하는 초소형 잠자리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 보호야생동식물로 분류되어 보호되고 있다. 국내의 서식처는 중남부 일부 지역에 매우 희소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멸종위기종인 꼬마잠자리의 서식처 복원을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꼬마잠자리의 서식이 확인된 4개 지역 10개 지점의 경관, 서식처 면적, 식생 유형, 수환경, 수원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2006년 6월부터 2007년 8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대부분 산지의 묵논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서식처 면적은 113.4m2~1,153.1m2로 나타났다. 식생은 골풀과 고마리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수심은 2.6~7.3cm 사이였고, 수온은 16~27.8℃이었다.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고산 습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조사 결과 해발 고도 139~243m 사이의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주변이 위요된 육화되기 전의 빈영양화 초기 단계의 묵논과 같은 습지에 복원되어야 하며, 꼬마잠자리는 다른 잠자리보다 환경에 예민한 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서식처 복원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restore habitats of Nannophya pygmaea. Nannophya pygmaea is an endangered species of wildlife fauna in Korea and its habitats are distributed very scarcely in Korea. Ten wetland sites throughout Korea, where N. pygmaea inhabited (2 sites in Incheon Muui-do, 1 site in Gokseong Singi-ri, 4 sites in Gokseong Wolbong-ri, and 3 sites in Mungyeong Yulsu-ri) were investigated from June 2006 to August 2007. Investigation was made on landscape properties, habitat sizes, vegetation types, water environments, and water sources. N. pygmaea was generally found in the abandoned paddy fields surrounded by mountains. The habitats ranged from 113.4m2 to 1,153.1m2 in area, and were mostly dominated by Juncus effusus and Persicaria thunbergii. The water level was 2.6~7.3cm, and the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16℃ to 27.8℃. The elevation of the habitats ranged from 139 to 243 m above sea level, which was mostly lower than that of other high mountain wetland habitats. In conclusion, the habitats of N. pygmaea can be restored at wetlands, which have similar condition with field habitat such as abandoned paddy fields in the beginning stage of oligotrophy. Because N. pygmaea is sensitive to microtopography and other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approach to restore the habitats for N. pygmaea should consider those microhabitat conditions shown in this study.

Author
  • 이은희 | Lee, Eun-Heui
  • 장하경 | Jang, Ha-Kyung
  • 박민영 | Park, Min-Young
  • 윤지현 | Yoon, Ji-Hyun
  • 김재근 | Kim, Jae-Geun
  • 배연재 | Bae, Yeon-J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