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Species by Human Impact in Urban Areas - Case Study of Cheon-ju - 인간의 영향에 따른 도시지역 식물종의 분포 패턴 및 특성

최일기, 이은희
  • LanguageENG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53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2권 제5호 (2008.10)
pp.505-513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간섭 및 영향에 따른 도시지역에서의 식물종의 분포패턴 및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전주시에서 자생적으로 이입된 모든 유관속 식물종에 대한 포괄적 자료습득을 위하여 각 1헥타 크기의 106개 표본 조사구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표본조사구는 전주시의 전형적인 토지이용유형을 대표하고 도심지역으로부터 다양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선정되었다. 종풍부성, 생활형의 패턴 그리고 외래종의 비율이 표본조사구의 헤메로비 정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되었다. 식물종의 수는 적당히 영향을 받는 부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적당한 교란은 종풍부성 증가를 유도한다는 중간 교란 가설에 상응하는 결과이다. 인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지의 식물상은 일년생 식물과 외래종의 비율이 가장 높은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일부 식물종들은 토지이용유형과 도시구역에 상응하는 유사한 분포를 갖는 세 가지 그룹인 도시지역 기피종(땅비싸리, 졸참나무, 개옻나무 등), 도시지역 및 외곽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종(닭의장풀, 개망초, 박주가리 등)과 도시지역 선호종(애기땅빈대, 개쑥갓, 서양민들레 등)으로 구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species by human impact in urban areas. In order to achieve a comprehensive data acquisition of all autogenously introduced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the city of Cheon-ju,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106 sample plots, each with a size of one hectare, These sample plots were selected to represent the typical land-use patterns within the city of Cheon-ju and to cover the various distances from the city center. Species richness, patterns of life forms, and the percentage of non-native specie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hemeroby of the sample plots. It was found that the species number appeared the largest in sites that were moderately influenced. This result corresponds to the intermediate disturbance hypothesis that moderate disturbance leads to an increase in species richness. The flora of sites which were subject to the highest level of human impact, was 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 of annual species and non-native species. In addition, some speci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similar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land-use type and urban zone: urbanophobic (e.g. Indigofera kirilowii, Prunus sargentii, Rhus trichocarpa), urbanoneutral (e.g. Commelina communis, Erigeron annuus, Metaplexis japonica) and urbanophilus (e.g. Euphorbia supina, Senecio vulgaris, Taraxacum officinale).

Author
  • 최일기 | Choi, Il-Ki
  • 이은희 | Lee, Eun-He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