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한강 하구역 주변 개발압력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Ramsar Site 등록 가능성을 판단하고, 기존 습지 유형기준 재설정을 통한 비오톱유형 별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지는 김포대교 하부 신곡수중보에서 이산포구간 사이 자유로변에 위치한 장항습지로서 면적은 약 2.7km2이다. RIS(Information Sheet for Ramsar Wetlands)의 작성을 위한 현장 및 문헌조사결과 장항습지는 물리적으로 5m이하의 낮은 표고를 갖는 퇴적지형 상에 위치하였으며 여름철 강수량의 집중으로 인한 하천 하구 퇴적현상에 의해 형성되었다. 생물생육환경은 염도에 따라 기수역과 담수역으로 구분되었으며 근권토양은 미사질양토(Silt loam), 근권하부토양은 사질양토(Sand loam)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상은 52과 135종 11변종 총 146종류가 관찰되었으며 주요 자생종은 버드나무, 갈대, 물억새 등 이었다. 현존식생분석결과 버드나무림의 분포가 전체의 37%로 가장 넓게 나타났으며, 논 경작지가 전체의 13.5%를 차지하였다. 동물상으로 야생조류는 총 62종 25,977개체가 관찰되었다. 작성된 RIS와 Ramsar Site 지정기준 비교분석 결과, 생물지리학적 범주에 관한 Criteria 1, 생물종 및 생태공동체에 근거한 Criteria 2, 3, 4, 물새에 근거한 Criteria 5와 6을 만족하여 Ramsar Site 등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 되었다. 장항습지의 관리지역 설정 위하여 비오톱 유형설정 및 평가를 실시한 결과, 총 1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등급 I지역이 전체의 75.4%, 등급 III지역이 0.8%로 나타났다. 평가등급에 따른 관리지역은 보전관리, 복원관리, 이용관리지역, 복원 및 이용관리지역 등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관리지역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weigh the possibility of endangered Jang-hang wetland at the estuary of Han River to be included on the Ramsar List of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and come up with ways to manage the wetland depending on its biotope patterns. The target area is located between Gimpo bridge and Isanpo I.C. with about 2.7km2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RIS(Information Sheet for Ramsar Wetlands), it was known that the wetland is located on the sedimentary topography and formed as a result of sediment at the estuary of the river owing to the concentration of rainfall during summer. The vegetation environment in the area is divided into brackish water and fresh water areas depending on salinity. Rhizosphere soil(RS) of the area was analyzed to be Silt loam while bottom RS to be Sand loam. The plant ecology was composed of 52 families 135 species and 11 varieties and 146 types. Among indigenous species found are Salix koreensis,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acchariflorus. The analyzed results of the actual vegetation showed that willow community accounts for 37% of the area and rice field is 13.5%. As for animal ecology, total of 62 species and 25,977 individual wild birds were observed.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IS we compiled with the Ramsar Site designation standards, it turns out that the Jang-hang wetland meets criteria 1(biographic region), criteria 2,3 and 4(species and ecological communities) and criteria 5 and 6(water birds). Thus, Jang-hang wetland is eligible for the Ramsar site. As a result of establishing and evaluating the biotope types for setting management areas, Jang-hang wetland has a total of 13 different types, and the grade I represents 75.4% of the area while the grade III 0.8% of the land status. We categorized four management zones for the wetland depending on the biotope patterns - preservation, restoration, use and buffer zones and suggested management methods for each zone.